생활이슈

연꽃을 왜 불교의 상징이라고 하나?

청담 일취월장 2010. 10. 6. 22:30
 

 

 

염화시중(捻花示衆)의 미소에서
 
부처님이 들어보이신 꽃이
  연꽃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어느 날 영산회상(靈山會上)에서
 법좌에 올라 연꽃을 들고
 아무말 없이 대중들을 둘러 보셨습니다.
 
  그 누구도
부처님의 뜻을 깨닫는 이가 없었는데
 마하가섭(摩詞迦葉)만은
 부처님의 참뜻을 헤아리고
 살며시 웃었다고 하는 이야기가 바로
염화미소의 유래입니다.

 연꽃은
불교의 정신을 잘 드러내는 꽃으로
 예부터 소중히 여겨왔습니다.
 
 연꽃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덕성(德性)을 높이 샀기 때문입니다.
 
 부처님께서는
청정하거나 지혜로운 사람을 곧잘
연꽃에 비유하셨습니다.

연꽃을 일러 만다라화(曼陀羅華)라고도 합니다.
 
오묘한 법칙이 연꽃에 드러나 있기 때문입니다.
 
처염상정(處染常淨)이라는 말이
 연꽃의 성격을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더러운 곳에 처해 있어도
항상 맑은 본성(本性)을
간직하고 있다는 말입니다.
 
 연꽃은 못에서 피어납니다.
 
물이 더럽거나 지저분하여도
그 속에서 귀한 꽃을 피워내는 그 모습이
마치 무명(無明)에 둘러싸였어도
깨달아서 불성(佛性)이 드러나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본 것입니다. 

연꽃은
 불교의 이상적인 인간상(人間像)인
보살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부처님이나 보살의 청정미묘한 미소가
연꽃송이를 통해 구체적으로 비유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불교가 추구하는 것은
현실을 벗어난 유토피아가
 아니라는 이야기입니다.
 
 연꽃이
 진흙 속에서도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것처럼
 
 불교인들은
 갖가지 불의와 부정이 난무하는
사바세계에서 중생으로만 남아있을 것이 아니라
부처님의 가르침을 힘써 실천해야 한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 것입니다.

 불교 예술품들이
 연꽃을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대승경전의 대표적인 경전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이나
『화엄경(華嚴經)』이 바로 그렇습니다.
 
 『법화경』의 연화나
『화엄경』의 화엄이란
 연꽃을 뜻하는 말입니다.
 
 보살의 온갖 실천행위를 비유한 표현입니다.
 
  연꽃이 진흙 속에서 꽃을 피우는 것처럼
 
우리들의 무명과 어리석음,
 
즉 이러한 진흙 속에서도
 보살이 되어야 한다는
간절한 바람이 담겨져 있는 것입니다.

'생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이섬을 다녀와서~~  (0) 2010.10.25
고구마꽃 보셨나요~~??  (0) 2010.10.21
폭탄주 제조방법-2  (0) 2010.08.22
캭테일 제조방법-1  (0) 2010.08.22
착한 칵테일 쉬운 안주만드는 방법   (0) 2010.08.15